국토에 가치를 더하다 행복한 변화로 가득한 세상 공간정보로 펼쳐질 대한민국의 미래입니다
지도란 우리가 사는 주변 지역을 축소시켜 여러 가지 기호와 문자를 사용해 표현한 것으로, 동물 가죽 위에 주변 지역과 사냥 경로 등을 기록한 고대 그림지도에서부터 오늘날 최첨단 우주지도에 이르기까지 그 형태와 목적이 매우 다양하다. 지도는 생활 속에서 작은 우리와 거대한 세계를 친숙하게 접하도록 해주는 가장 대표적인 재현물이며, 그래서 지도의 역사는 곧 재현의 역사이자 인간이 세계를 인식하는 방식의 역사이기도 하다.
최고(最古)의 지도는 기원전 1300년경에 만들어진 파피루스 식물에 그린 누비아 지방현재의 이집트 남부, 나일강 중간지역의 금광지도가 가장 오래된 지도라는 것이 정설이지만, 오늘날까지 보존되어 있는 지도로는 기원전B.C. 700년경에 점토판에 그린 고대 바빌로니아 지방 현재의 이라크 남부지역의 세계지도가 가장 오래되었다고 한다. 이 지도는 두 개의 큰 원을 그려 안쪽에는 육지를, 바깥쪽에는 육지를 둘러싸고 있는 바다를 나타낸 것으로 당시의 세계관을 잘 보여주고 있다.
서양의 경우 기원전 5세기부터 그리스의 학자들은 지구는 둥글다고 생각하였고, 특히 피타고라스와 플라톤은 기하학적으로 구체(球體)가 가장 완벽한 형태로, 지구도 그와 같은 모양을 하고 있다고 생각하였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수학적 근거와 물리적인 증거를 추가하여 이를 지지하였고, 이후 여러 천문학자들은 지구의 둘레와 직경의 측정을 시도하였다. 대표적인 사례로 지리학자인 프톨레마이오스는 지구를 360도로 나누고, 이를 다시 분(分)과 초(秒)로 나누는 위선과 경선을 고안하여, 『좌표』를 바탕으로 세계지도를 제작하였다. 프톨레마이오스가 저술한 『지리학 Geographia 』AD 150년경에 수록된 지도는 간단한 도형법에 기초하고 있으며, 비록 천동설에 입각한 오류를 빚고 있으나, 근대 지도의 기초를 이룬 지도로 평가받고 있다.
중국을 비롯한 동양에서의 세계의 표상, 즉 세계의 모습은 서구와는 전혀 다른 모습으로 표현되었다. 프톨레마이오스가 지도를 제작하기 이전, 중국 한나라의 창행(張衡)은천하를 둥근 하늘과 평평하고 네모난 땅(天圓地方)으로 보았고, 그에 입각하여 격자 체계를설정하고 하늘과 땅을 측정하였다. 그로부터 2세기 후, 진나라의 초대 공무 장관으로 임명된 배수(裵秀)는 8매로 된 중국의 정밀한 지도를 만들면서 창행에서 고안한 장방형 격자 체계를 이용하였다. 17세기 중국에서는 알레니의 『직방외기』와 「만국전도」, 아담 샬의 「지구십이장원형도」, 페르디난드 페르비스트의 『곤여도설』 및 『곤여전도』 등 여러 지도와 지리지가 편찬되었다. 특히 청나라의 강희제는 유럽의 자연 과학에 매우 깊은 관심을 갖고 선교사로 하여금 중국 전 국토에 대해 측량과 지도제작을 지시하였으며, 측량 사업은 1709년 1차로 마무리되었고, 1717년 『강희전람도』가 완성되었다.
우리나라는 사료(史料)를 통해서 볼 때 옛부터 지도에 대해 깊은 관심이 있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삼국시대와 고려시대에 이미 지도를 제작하여 활용하였다는 기록이 남아 있고, 조선시대는 왕권의 강화와 국가 통치의 필요성으로 인해 지도가 제작되었다. 특히 1402년에 제작된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19』는 동양 최고(最古)의 세계지도로 평가받고 있다. 21세기 현재, 우리나라에는 정보기술의 발달로 매우 다양한 형태의 지도가 만들어져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국토교통부 산하의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지도를 제작하며, 지도에 수록된 지리정보는 주제도, 관광지도, 웹지도 등 여러 형태로 가공되어 사회에서 활용되고 있다.
미국 조사단이 발견한 고대 바빌로니아의 지도는 4500년 전의 것으로 판명되었는데 이것은 태양열로 구운 벽돌 표면에 나뭇가지로 그린 것으로 현재 대영박물관(大英博物館)에 보관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면 대해(大海)에 둘러싸인 원반 모양의 육지 중심에 수도 바빌론이 있고 그것을 꿰뚫고 유프라테스강(江)이 그려져 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높은 곳에 올라감에 따라서 지평선상의 시야가 변하는 것, 월식 때에 달의 면에 비치는 지구의 그림자가 둥근 것 등으로 지구가 구형(球形)이라는 것을 과학적으로 증명하였고, 또 지구의 둘레를 측정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 에라토스테네스는 세계지도에 처음으로 경선과 위선을 그려 넣었다.
프톨레마이오스는 150년 무렵 그리스 ·로마 시대의 지리적 지식을 집대성하여 유럽에서 중국까지를 포함한 세계의 반구도(半球圖)를 작성하였다. 이 세계지도는 지구의 둘레를 360°로 나누는 경선과 위선을 고안하여 이른바 톨레미 도법(정거원뿔도법)에 의해서 이것을 평면에 투영한 것으로, 근대적인 지도의 바탕을 이루었다.
서(西)로마 제국이 멸망한(476) 후 중세의 유럽에서는 신학이 모든 학문을 지배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지도분야에서도 프톨레마이오스까지의 과학적인 세계지도의 전통이 금지되어, 세계는 또다시 원반으로 간주되었고 이 생각을 단적으로 표현한 것이 TO 지도이다.
중세 후반에 이르자 성지 예루살렘을 이교도로부터 탈환하려는 십자군의 원정을 계기로 지중해를 중심으로 하는 교통이 다시 성해져서 13세기 무렵부터 포르토라노라고 불리는 특수한 해도가 만들어졌다.
고려사에 의하면 목종 5년(1002)에 거란에 고려지도를 보낸 일이 있었고, 의종 2년 (1148)에는 이심, 지지용 등이 송나라 사람과 공모하여 고려지도를 송의 진회에게 보내려다가 들켜서 처벌당한 일이 있다. 현종 때에는 행정구역을 10도에서 5도 양계로 개 편한후에 전국지도를 작성하였는데 이 『5도양계도』는 여러 차례에 걸쳐 작성되어 조선전기 지도 제작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고려 말에 제작된 나홍유의 『5도 양계도』는 조선 태조 5년(1396)에 이첨이 그린 『삼국도』와, 태종 2년(1402)에 이회가 그린 『팔도도』의 기본도가 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조선시대에는 양성지, 정척에 의해 『동국지도』가 완성되었다. 18세기에 정상기는 우리나라 최초로 백리척 축적법을 이용한 과학적인 고지도 『동국대지도』를 제작하여 고지도의 수준을 한 차원 끌어올렸으며 이후 김정호는 조선 초기부터 19세기까지 제작된 한국 고지도의 장점만을 간추리고, 19세기에 담을 수 있는 최대한의 정보를 수록하여 불후의 명작 『대동여지도』를 내놓았다. 그리고 이후 대한 제국 시대에는 최초의 현대식 지도인 대한전도가 1899년에 발간되었다.
비행기나 인공 위성에서 항공 사진 측량 촬영을 하여 지상의 지점과 높낮이, 거리, 방위를 일치 시키고 초기 원도를 그린다. 이를 바탕으로 측량 및 현지 조사를 하여 정밀하게 그려서 인쇄한다.
국가 지리정보 구축(DB (DATA BASE)지리정보를 전산화하여 정리한 파일)
비행기는 두대가 60% 겹치도록 항공사진을 촬용한다.
![]() 도청 |
![]() 시청 |
![]() 읍·면·동 |
![]() 학교 |
![]() 경찰서 |
![]() 소방서 |
![]() 우체국 |
![]() 병원 |
![]() 교회 |
![]() 공장 |
![]() 온천 |
![]() 등대 |
![]() 광산 |
![]() 묘지 |
![]() 산 |
![]() 절 |
![]() 논 |
![]() 과수원 |
![]() 교량 |
![]() 성곽 |
![]() 건물, 길 |
![]() 2차선 이상 포장도로 |
![]() 1차선 이상 포장도로 |
![]() 우마차로 |
![]() 소로 |
![]() 철도, 터널 |
![]() 논, 밭 |
![]() 산 |
![]() 건물 |
![]() 지류경계 |
![]() 하천 |
![]() 호수, 저수지 |
지도를 쉽게 읽기 위하여 기호와 지형 지물을 여러가지 색으로 구분하여 표시한다.
검정색 | 빨강색 | 파랑색 | 갈색 | 녹색 |
---|---|---|---|---|
![]() |
![]() |
![]() |
![]() |
![]() |
사람에 의해 만들어진 것을 주로 표현하며 관공서, 건물, 철도, 도로, 경계 등을 나타내는 색입니다. | 돋보여서 강조를 하기 위한 색으로 관광 지명과 햇빛에 관련된 기호에 많이 사용되는 색입니다. | 물을 표현하는 기호와 색에 사용되며, 옅은 곳은 하늘색으로 나타내며 깊이가 깊어질수록 파란색으로 나타냅니다. | 지형지물의 높낮이를 표현하는 등고선의 색으로 땅과 관련된 모래, 제방 등의 기호에 사용합니다. | 지형이 낮은 평야 지역이나 녹지대, 공원 등을 표현하는 색으로 밭, 과수원 등 식물의 기호로 사용됩니다. |
비교적 넓은 지역을 간략하게 표현한 것으로, 실제 거리의 축소율이 커서 넓은 지역을 관찰하거나 지역 개관에 이용된다. 축척은 1:1,000,000, 1:6,000,000으로 대한민국 전도와 세계전도 등이 이에 해당되며 전 국토를 효율적으로 개발할 때 많이 이용된다.
지도상의 위치와 방향은 공간상의 한 물체 또는 한 점의 위치는 일반적으로 좌표로써 표시한다.
어느 좌표계에 있어서 다른 점들과 어떤 기하학적인 상관관계를 갖는가를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그 좌표계의 특정점 또는 특정선부터의 길이와 방향을 기초로 하여 표현한다.
『좌표계Coordinate System 』의 기준이 되는 고유한 한 점을 원점(origin) 이라 하며, 이를 기준으로 길이, 또는 방향을 표시한 것이 바로 『좌표Coordinate 』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