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7.10 공동추진 협정
건물통합정보 DB 구축 : 건축행정시스템(e-AIS)의 건축물대장과 수치지형도 건물 레이어를 건물단위로 매칭하여 생성
공간정보와 속성정보 연계통합
등록·갱신 기능 보급 : 부동산종합공부시스템을 전국 지자체에 설치하고 건물통합정보의 실시간 갱신체계 마련
건축물대장 및 배치도 활용,갱신
활용체계 구축 : 공공부문 및 대국민활용을 위한 건물통합정보 실시간 공유 및 정보서비스 체계 마련
구분 | '11년 | '12년 | 비고 |
---|---|---|---|
교육과정 | 14 | 16 | (증 2과정) |
교육회수 | 35 | 38 | (증 3회) |
교육인원 | 1,490 | 1,670 | (증 180명) |
구분 | '12년 | '13년 | 비고 |
---|---|---|---|
교육과정 | 16 | 14 | (감 2과정) |
교육회수 | 38 | 43 | (증 5회) |
교육인원 | 1,670 | 1,930 | (증 300명) |
구분 | '12년 | '13년 | 비고 |
---|---|---|---|
국토부 인재개발원 | 지적제도 사이버 교육 | 180 | 전년과 동일 |
충북 자치연수원 | 1개과정 (1기수) | 40 | 1기수 40명(감) |
한국지적협회 | 4개과정 (9기수) | 450 | 전년과 동일 |
지방공기업평가원 | 4개과정 (8기수) | 400 | |
지적연수원 | 8개과정 (25기수) | 860 | 6기수, 300명(증) |
과정명 | 기간 | 대상 | 인원 | 기관 | 비고 | |
---|---|---|---|---|---|---|
14개 과정(43회) | 1,930 | |||||
지적제도 | 4월, 8월, 11월 | 제한없음 | 180 | 인재개발원 | 사이버 | |
지적 및 공간정보 관리 | 1기 | 07.08~07.19(10일) | 6급이하 | 40 | 충청북도 자치연구원 | 명칭변경 |
지적관리자 | 1기 | 04.08~04.10(5일) | 6급이상 | 50 | 한국지적협회 | |
2기 | 05.20~05.24(5일) | 50 | 지방공기업평가원 | |||
지적행정실무 | 1기 | 03.18~03.22(5일) | 7급이하 | 50 | 지방공기업평가원 | |
2기 | 04.15~04.19(5일) | 50 | 한국지적협회 | |||
3기 | 04.22~04.26(5일) | 50 | ||||
지적의 역사 | 1기 | 02.25~02.27(3일) | 7급 | 50 | 지방공기업평가원 | |
2기 | 06.10~06.12(3일) | 8급 | 50 | 한국지적협회 | ||
3기 | 06.17~06.19(3일) | 9급 | 50 | 지방공기업평가원 | ||
4기 | 06.24~06.26(3일) | 7급 | 50 | 한국지적협회 | ||
5기 | 07.01~07.03(3일) | 8급 | 50 | |||
6기 | 09.30~10.02(3일) | 9급 | 50 | 지방공기업평가원 | ||
지적의 미래 창조 | 1기 | 04.01~04.03(3일) | 5급~7급 | 50 | 지방공기업평가원 | |
2기 | 07.08~07.10(3일) | 50 | ||||
3기 | 09.23~09.25(3일) | 50 | ||||
4기 | 10.14~10.16(3일) | 50 | 한국지적협회 | |||
5기 | 10.21~10.23(3일) | 50 | ||||
6기 | 10.28~10.30(3일) | 50 | ||||
부동산종합공부시스템 실무 |
1기 | 04.01~04.05(5일) | 7급~9급 | 35 | 대한지적공사 지적연수원 |
신규 |
2기 | 04.08~04.12(5일) | 50 | ||||
3기 | 04.15~04.19(5일) | 50 | ||||
4기 | 04.22~04.26(5일) | 50 | ||||
5기 | 05.06~05.10(5일) | 50 | ||||
6기 | 06.10~06.14(5일) | 50 | ||||
7기 | 07.08~07.12(5일) | 50 | ||||
8기 | 08.05~08.09(5일) | 50 | ||||
지적측량실무 | 1기 | 07.15~07.26(10일) | 6급~8급 | 35 | ||
2기 | 08.26~09.06(10일) | 35 | ||||
3기 | 10.14~10.25(10일) | 35 | ||||
4기 | 11.04~11.15(10일) | 35 | ||||
지적실무리더 | 1기 | 05.06~05.10(5일) | 7급~9급 | 35 | 명칭변경 | |
2기 | 08.05~08.09(5일) | 35 | ||||
3기 | 09.23~09.27(5일) | 35 | ||||
지적정책 | 1기 | 03.13~03.15(3일) | 4급~5급 | 20 | ||
지적기획 | 1기 | 03.27~03.29(3일) | 5급~6급 | 35 | ||
지적재조사실무 | 1기 | 03.18~03.29(10일) | 지적재조사 사업지구공무원 |
35 | 증2 | |
2기 | 05.20~05.31(10일) | 35 | ||||
3기 | 06.17~06.28(10일) | 35 | ||||
4기 | 09.02~09.13(10일) | 35 | ||||
지적실무 신규자 | 1기 | 07.22~08.02(10일) | 신규임용자 | 35 | 증1 | |
2기 | 10.28~11.08(10일) | 35 | ||||
골드라이프 (gold-life) |
1기 | 06.10~06.14(5일) | 만55세 이상 공무원 |
35 | 신규 | |
2기 | 11.04~11.08(5일) | 35 |
과정명 | 기간 | 대상 | 인원 | 기관 | 비고 | |
---|---|---|---|---|---|---|
14개 과정(43회) | 2,010 | |||||
지적제도 | 4월, 8월, 11월 | 제한없음 | 180 | 국토부 인재개발원 | 사이버 | |
지적 및 공간정보 관리 | 1기 | 07.08~07.19(10일) | 6급이하 | 40 | 충청북도 자치연구원 | 명칭변경 |
지적관리자 | 1기 | 04.08~04.10(5일) | 6급이상 | 50 | 한국지적협회 | |
2기 | 05.20~05.24(5일) | 50 | 지방공기업평가원 | |||
지적행정실무 | 1기 | 03.18~03.22(5일) | 7급이하 | 50 | 지방공기업평가원 | |
2기 | 04.15~04.17(3일) | 50 | 한국지적협회 | |||
3기 | 04.22~04.24(3일) | 50 | ||||
지적의 역사 | 1기 | 02.25~02.27(3일) | 7급 | 50 | 지방공기업평가원 | |
2기 | 06.10~06.12(3일) | 8급 | 50 | 한국지적협회 | ||
3기 | 06.17~06.19(3일) | 9급 | 50 | 지방공기업평가원 | ||
4기 | 06.24~06.26(3일) | 7급 | 50 | 한국지적협회 | ||
5기 | 07.01~07.03(3일) | 8급 | 50 | |||
6기 | 09.30~10.02(3일) | 9급 | 50 | 지방공기업평가원 | ||
지적의 미래 창조 | 1기 | 04.01~04.03(3일) | 5급~7급 | 50 | 지방공기업평가원 | |
2기 | 07.08~07.10(3일) | 50 | ||||
3기 | 09.23~09.25(3일) | 50 | ||||
4기 | 10.14~10.16(3일) | 50 | 한국지적협회 | |||
5기 | 10.21~10.23(3일) | 50 | ||||
6기 | 10.28~10.30(3일) | 50 | ||||
부동산종합공부시스템 실무 |
1기 | 04.01~04.05(5일) | 7급~9급 | 35 | 대한지적공사 지적연수원 |
신규 |
2기 | 04.08~04.12(5일) | 35 | ||||
3기 | 04.15~04.19(5일) | 35 | ||||
4기 | 04.22~04.26(5일) | 35 | ||||
5기 | 05.06~05.10(5일) | 35 | ||||
6기 | 06.10~06.14(5일) | 35 | ||||
7기 | 07.08~07.12(5일) | 35 | ||||
8기 | 08.05~08.09(5일) | 35 | ||||
지적측량실무 | 1기 | 07.15~07.26(10일) | 6급~8급 | 35 | ||
2기 | 08.26~09.06(10일) | 35 | ||||
3기 | 10.14~10.25(10일) | 35 | ||||
4기 | 11.04~11.15(10일) | 35 | ||||
지적실무리더 | 1기 | 05.06~05.10(5일) | 7급~9급 | 35 | 명칭변경 | |
2기 | 08.05~08.09(5일) | 35 | ||||
3기 | 09.23~09.27(5일) | 35 | ||||
지적정책 | 1기 | 03.13~03.15(3일) | 4급~5급 | 20 | ||
지적기획 | 1기 | 03.27~03.29(3일) | 5급~6급 | 35 | ||
지적재조사실무 | 1기 | 03.18~03.29(10일) | 지적재조사 사업지구 공무원 |
35 | 증2 | |
2기 | 05.20~05.31(10일) | 35 | ||||
3기 | 06.17~06.28(10일) | 35 | ||||
4기 | 09.02~09.13(10일) | 35 | ||||
지적실무 신규자 | 1기 | 07.22~08.02(10일) | 신규임용자 | 35 | 증1 | |
2기 | 10.28~11.08(10일) | 35 | ||||
골드라이프 (gold-life) |
1기 | 06.10~06.14(5일) | 만55세 이상 공무원 |
35 | 신규 | |
2기 | 11.04~11.08(5일) | 35 | ||||
지적재조사 | 1기 | 04.22~04.26(5일) | 지적재조사 사업지구 공무원 |
40 | 국토해양인재개발원 | 신규 |
2기 | 09.09~09.13(5일) | 40 |
구분 | 전체 | '12년까지 | '13년 | 향후계획 | 비고 |
---|---|---|---|---|---|
사업비(억원) | 325 | 175 | 37 | 113 |
연도 | 예산 | 사업내용 | 도입지자체 |
---|---|---|---|
'08 | 4.2억 |
· 전국 단위의 지하시설물 관리 및 활용체계 구축방안 마련 |
|
'09 | 39.5억 | · ISP계획에 따라 8개 市 통합DB 구축 및 郡지역 시범사업 |
8개 지자체 |
'10 | 39억 | · 市급 지하시설물 DB통합을 완료하여 활용기반체계 구축 |
84개 지자체 |
'11 | 49억 | · 활용프로그램 지자체 확산으로 활용도 제고 |
9개 지자체 |
'12 | 43억 | · 활용프로그램 지자체 확산 |
44개 지자체 |
'13 | 37억 |
· 3D 지하공간정보 구축 |
작업순서 | 설명 | |
---|---|---|
① 측량기준점 설치 |
![]() |
시설물의 위치좌표를 측량하기 위한 측량기준점을 설치 |
② 도로시설물 위치측량 |
![]() |
GPS측량 등을 이용하여 도로 선형 및 시설물 위치 측량 |
③ 지하시설물 탐사 |
![]() |
지하에 매설된 관의 위치 및 매설 깊이 등을 측정 |
④ 전자지도 편집 |
![]() |
현장에서 조사·측량한 자료를 전자 지도에 표현 |
전국단위지하시설물 통합정보
민원서비스
정보연계
도로굴착 민원서비스 개선 : 도로굴착 한번에 OK시스템 구축으로 주민편익 행정 "감동"
현행 | 개선 | |
---|---|---|
지자체사례 | 충남 연기, “군에선 지하매설물 확인 안해”-출처 : 대전일보 (’07.12.18) | 서울 광진구, 도로굴착 행정 “감동”-출처 : 서울신문 (‘07.09.03) |
허가여부사전확인 |
굴착가능여부 사전확인 불가,신청 후 허가까지 최대 90일 소요 |
원클릭으로 굴착가능여부 바로 확인, 신청 후 허가까지 평균 3일 소요 |
기관방문 | 민원인 평균 10회 기관 방문(관공서5회, 유관기관 5회), 오프라인 문서 송수신 | 관련기관 무방문 협의 진행,온라인 문서 송수신 |
소요비용 |
|
총 470억원/년 절감-※ 지자체 연간 굴착건수 32,000건 기준 |
구축전 | 구축후 |
---|---|
|
|
구축전 | 구축후 |
---|---|
|
|
2008년도 정보화전략계획 (ISP)결과 - 갱신원활 32%, 갱신미흡 68%
공사업체 신청 후 허가업체에서 허가를 내리면 공사진행, 준공 단계로 진행되나 허가부서와 지리정보전담부서의 업무단절로 인해 별도의 DB구축을 용역발주하여 측량비용이 이중으로 발생한다.
민원-점용료-GIS DB 갱신 (GIS용 준공 성과물 제출 의무화)
구축전 | 구축후 |
---|---|
|
|
구축전 | 구축후 |
---|---|
|
|
전국단위지하시설물 통합정보
민원서비스
정보연계
구축전 | 구축후 |
---|---|
|
|
구분 | 사업명 | 사업성과 | |
---|---|---|---|
세종과학기지 | 장보고기지 | ||
지도제작 | 1/1,000 지형도 | 2도엽 | 2도엽 |
1/5,000 지형도 | 19도엽 | 12도엽 | |
1/25,000 지형도 | 20도엽 | 13도엽 | |
입체그림지도 | 1점 | - | |
남극전도 제작 | 1식 | ||
해안선변화지도 | - | 12도엽 | |
빙하변화지도 | - | 12도엽 | |
측지측량 | 통합기준점 설치 | 1점 | |
GPS 위성기준점 설치 | 1점 | ||
GPS 기준점 측량 | 3점(중복측량 8회) | 3점(지도기준점) | |
중력측량 | 50점 | - | |
간이 조석계 설치 | 1점 | - | |
지명등록 | 기지 주변 고유지명 부여 | 27개 | - |
GIS시스템 | DB 구축 | 2도엽 | 2도엽 |
No | 지명 | No | 지명 | No | 지명 |
---|---|---|---|---|---|
1 | 백두봉(Baekdu Hill) | 10 | 발해봉(Balhae Hill) | 19 | 촛대바위(Chotdae Rock) |
2 | 세종봉(Sejong Hill) | 11 | 아리랑봉(Arirang Hill) | 20 | 아라온계곡(Araon Valley) |
3 | 전재규봉(Jeonjaegyu Hill) | 12 | 가야봉(Gaya Hill) | 21 | 해운대해빈(Haeundae Beach) |
4 | 고구려봉(Goguryeo Hill) | 13 | 나비봉(Nabi Hill) | 22 | 나래절벽(Narae Cliff) |
5 | 백제봉(Baekje Hill) | 14 | 화석봉(Hwaseok Hill) | 23 | 대왕여(礖)(Daewang rock) |
6 | 신라봉(Silla Hill) | 15 | 세종곶(Sejong Cape) | 24 | 우이동계곡(Uidong Valley) |
7 | 세석평원(Seseok Flat) | 16 | 미리내빙하(Mirinae Glacier) | 25 | 삼각봉(Samgak Peak) |
8 | 아우라지계곡(Auraji Valley) | 17 | 마포항(Mapo Harbour) | 26 | 울산바위봉(Ulsanbawi Peak) |
9 | 부리곶(Buri Cape) | 18 | 반달곶(Bandal Cape) | 27 | 인수봉(Insubong Hill |
중점과제 | 실천 과제 |
---|---|
산업지원 공간정보가공 및 활용기술 개발 |
|
생활편리 공간정보기술및 제품 개발 |
|
생활안전공간정보 기술 개발 |
|
북한 국토정보 구축 및 활용기술 개발 |
|
신성장동력 공간정보기술개발 |
|
교육기관 | 비고 |
---|---|
산업지원 공간정보 가공 및 활용기술 개발 |
|
생활편리 공간정보 기술 및 제품개발 |
|
생활안전 공간정보 기술 개발 |
|
북한 공간정보 구축 및 활용기술 개발 |
|
기타 활용기술 개발 |
|
중점과제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
상생경제 실현 | 1. 미래 국가경쟁력의 핵심자원으로서 빅데이터 활용기술 개발 | ||||||
2. 새로운 비즈니스 창출 동력인 공간정보 가공 및 활용기술 개발 | |||||||
3. 산업별 특성에 맞는 맞춤형 공간정보 제공기술 개발 | |||||||
4. 국토공간 이용현황 조사 및 정보 구축 방안 연구 | |||||||
모두가행복한 세상 |
5.편리한 생활을 위한 실내용 위치정보제공 서비스 개발 | ||||||
6.안락한 생활을 위한 공간정보 활용 제품 개발 | |||||||
안전한국민생활 | 7. 접근불능지역 모니터링을 위한 전천후 차세대 초경량 무인항공기 개발 | ||||||
8.범죄,재회,재난으로부터 안전한 도시 공간정보 구축 | |||||||
9. 지하공간의 체계적인 개발 및 안전관리를 위한 기술개발 | |||||||
미래를 준비하는 공간정보 |
10. 국토경쟁력 제고를 위한 북한 국토공간정보 체계 구축 | ||||||
11. 북한 국토정보 공동 활용기반 마련 | |||||||
미래 신성장 동력육성 |
12.미래 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공간정보 전용위성 기술 개발 | ||||||
13. 고부가가치 창출을 위한 다양한 공간영상정보 서비스 기술 개발 | |||||||
14. 3차원 공간정보 상용화 촉진 기술 개발 | |||||||
15. 공간정보를 활용한 위치기반탄소배출 감시 및 거래시스템 구축 | |||||||
16. 공간정보를 이용한 불순한 정보 공유 및 연계시스템 개발 |
구분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합계 |
---|---|---|---|---|---|---|---|---|
산업지원 공간정보 가공 및 활용기술 개발 | 66 | 101 | 114 | 64 | 54 | 18 | 6 | 423 |
생활편리 공간정보 기술 및 제품 개발 | 45 | 60 | 90 | 72 | 63 | 18 | 12 | 360 |
생활안전 공간정보 기술 개발 | 37 | 112 | 394 | 437 | 368 | 157 | 70 | 1,575 |
북한 국토정보 구축 및 활용기술 개발 | 6 | 8 | 36 | 40 | 60 | 40 | 30 | 220 |
신성장동력 공간정보 기술 개발 | 318 | 424 | 475 | 350 | 256 | 50 | 37 | 1,910 |
합계 | 472 | 705 | 1,109 | 963 | 801 | 283 | 155 | 4,488 |
연번 | 실천과제명 | 정부 예산 (억원) |
연구기간 | 분야별 예산 (억원) |
비고 | ||||||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
1 | 미래 국가경쟁력의 핵심자원으로서 빅데이터 활용 기술 개발 | 200 | 30 | 40 | 60 | 40 | 30 | - | - | 423 | ‘13년 기획 (상반기) |
2 | 새로운 비즈니스 창출 동력인 공간정보 가공 및 활용기술 개발 | 120 | 6 | 18 | 24 | 24 | 24 | 18 | 6 | ‘13년 기획 (상반기) |
|
3 | 산업별 맞춤형 공간정보 제공을 위한 기술 개발 | 75 | 22 | 31 | 22 | - | - | - | - | 자유공모과제 | |
4 | 국토공간 이용현황 조사 계획 및 가공체계 구축 | 28 | 8 | 12 | 8 | - | - | - | - | ||
5 | 실내용 위치정보제공 서비스 개발 | 300 | 45 | 60 | 90 | 60 | 45 | 360 | ‘13년 기획 (상반기) |
||
6 | 안락한 생활을 위한 공간정보 활용 제품 개발 | 60 | - | - | - | 12 | 18 | 18 | 12 | ||
7 | 접근불능지역 모니터링을 위한 전천후 차세대 초경량 무인항공기 개발 |
600 | - | - | 210 | 240 | 150 | - | - | 1,575 | ‘13년 기획 (하반기) |
8 | 범죄 재해 재난으로부터 안전한 도시 공간정보 구축 | 750 | 37 | 112 | 150 | 152 | 150 | 112 | 37 | ‘13년 기획 (상반기) |
|
9 | 지하공간의 체계적인 개발 및 안전관리를 위한 기술 개발 | 225 | - | - | 34 | 45 | 68 | 45 | 33 | ‘13년 기획 (하반기) |
|
10 | 국토경쟁력 제고를 위한 북한 국토공간정보 체계 구축 | 200 | - | - | 30 | 40 | 60 | 40 | 30 | 220 | ‘13년 기획 (하반기) |
11 | 북한 국토정보 공동 활용기반 마련 | 20 | 6 | 8 | 6 | - | - | - | - | 자유공모과제 | |
12 | 미래 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공간정보 전용위성 기술 개발 | 1200 | 180 | 240 | 300 | 300 | 180 | - | - | 1,910 | ‘13년 기획 (상반기) |
13 | 고부가가치 창출을 위한 공간영상정보 기반 지식서비스 기술 개발 |
250 | - | - | 37 | 50 | 76 | 50 | 37 | ‘13년 기획 (하반기) |
|
14 | 3차원 공간정보의 상용화 촉진 기술 개발 | 70 | 21 | 28 | 21 | - | - | - | - | 자유공모과제 | |
15 | 공간정보를 활용한 위치기반 탄소배출 감시 및 거래시스템 구축 |
360 | 108 | 144 | 108 | - | - | - | - | ||
16 | 공간정보를 이용한 물순환정보 공유 및 연계 시스템 개발 | 30 | 9 | 12 | 9 | - | - | - | - | ||
합계 | 4,488 | 472 | 705 | 1,109 | 963 | 801 | 283 | 155 | 4,488 |
구분 | 내용 |
---|---|
경제적 효과 |
|
기술적 효과 |
|
사회적 효과 |
|
구 분 | 실내 LBS | 실내 Navigation | 실내 서비스 로봇 | 실내 Geo-Portal |
---|---|---|---|---|
국내시장 | 2,500억원 | 430만대 | 5,000억원 | 1조원 |
세계시장 | 5조원 | 860만대 | 10조원 | 20조원 |
* 실내공간정보 구축을 위한 기술기반연구 및 시범DB구축 연구(’12, 한국공간정보학회)
구 분 | ’13년 | ’14년 | ’15년 | ’16년 |
---|---|---|---|---|
지하철 | 수도권 200개 | 수도권 200개 부산권 129개 |
수도권 98개 대구· 대전·광주 101개 |
- |
공항 | 인천공항 | 김포, 제주, 김해 공항 | 나머지 공항 | - |
관공서 | 세종시 주요 민원지역 | 서울 주요관공서 민원지역 | 주요 광역시 관공서 민원지역 | 나머지 지역 |
병원 | 서울의료원, 서울적십자병원 | 주요 광역시 의료원 | 수도권 의료원 | 지방 주요 거점의료원 |
컨벤션센터 | COEX, BEXCO | KINTEX 외 3개 | 5개 | 기타 주요 컨벤션센터 |
전통시장 | 수도권 대형전통시장 | 수도권 및 광역시 전통시장 | 기타 지역 주요 전통시장 | - |
구 분 | ’13년 | ’14년 | ’15년 | ’16년 |
---|---|---|---|---|
교통약자 경로안내 | ||||
공항 및 지하철 경로안내 | ||||
시각장애인 경로안내 | ||||
112 119 신고자 실내위치 파악 | ||||
대형건물 재난 및 대피경로 안내 |
구 분 | ’13년 | ’14년 | ’15년 | ’16년 | 합계 |
---|---|---|---|---|---|
DB 구축 | 12,000 | 18,500 | 20,000 | 15,000 | 65,500 |
실내측위기술개발 | 4,000 | - | - | - | 4,000 |
활용서비스 구축 | 2,000 | 3,000 | 3,000 | 2,000 | 10,000 |
계 | 18,000 | 21,500 | 23,000 | 17,000 | 79,5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