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공간정보정책개요

> 정책·자료
> 공간정보정책
> 국가공간정보정책개요
한국의 공간정보 개요
대한민국은 국민생활의 편리성과 행정업무의 효율성 향상을 위하여 다양한 공간정보를 구축하여 행정 업무 및 대민 서비스에 활용하고 있으며, 국제협력도 적극 추진하고 있습니다.
Everwhere Everybody
- Green Growth
- 국토 기초를 세우는 공간정보
- 3D 영상정보
- 기본지리정보
- 수치지형도, 지적도, 각종 주제도 전산화
- 공간정보를 활용한행정업무 효율성 향상
- 국가공간정보통합체계
- 도시계획정보시스템
- 한국토지정보시스템(KLIS)
- 지하시설물 통합관리시스템
- Newdeal
- 국민의 삶을 편리하게하는 공간정보 서비스
- 3D 공간정보오픈플랫폼 (V-world)
- 부동산행정정보일원화 서비스
- 씨:리얼
- 공간정보 유통시스템
- 세계가 함계 상생하는국제협력 및 지원
- 공간정보 표준화
- 공간정보시스템 개발
- 지적조사 및 지적 시스템 구축
- 지형도 제작
-
- Governance
- Data
- Standard
- Distribution
- Technology
- HumanResources
-
- 2015
- 2010
- Act on NSDI(Low) 2005
- 2000
- 1995Act on NSDI(Low)
한국의 공간정보가 걸어온 길
공간정보는 대한민국의 경제를 성장시키는 큰 힘이 되었습니다.
년대별 공간정보 역사
1910년대 |
선 토지 조사 사업 |
1960년대 |
전국 1:25,000 지형도 제작 |
1970년대 |
대축척 지형도, 국토개발 선도 |
1980년대 |
공간정보개념으로 확대되는 측량 |
1990년대 |
국토공간정보의 핵심으로 부상하는 GIS |
2000년대 |
국가 GIS 사업의 성공 |
2010년대 |
U-City, 녹색성장의 기반이 되며, 스마트폰과 공간정보의 결합으로 스마트 정보 시대 |
- ST : Surverying Technology
- GT : Geospatial Technology
- ICT: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 UT: Ubiquitous Technology
- 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국가 공간정보 정책
한국은 국가 공간정보정책을 체계적으로 추진하여 든든한 공간정보인프라를 구축하였습니다.
기반조성
- 제1차 국가 GIS 사업(1995 ~ 2000)
- 지형도, 지적도 전산화
- 토지이용현황도, 지하시설물도 등 주제도 구축
- 매핑기술, DB Tool, GIS S/W 기술 개발
활용 확산
- 제2차 국가 GIS 사업(2001~2005)
- 국가기본도, 해양기본도,공간영상 등 구축
- 3차원 국토공간정보, UPIS,KOPSS, 건물 통합 등 활용체계 구축 추진
- 국가지리 정보유통망 기능개선
연계통합
- 제3차 국가 GIS 사업(2001~2005)
- 국가기본도, 해양기본도, 공간영상 등 구축
- 3차원 국토공간정보, UPIS,KOPSS, 건물 통합등 활용체계 구축 추진
- 국가지리정보유통망 기능개선
공유활용
- 제4차 국가 SDI 사업(2010~2015)
- 국가공간정보 유지/관리및 활용체계 구축
- 디지털지적 구축
- 3차원 국토공간정보 구축
- 국산GIS솔류션 개발, 상용화 및 보급
한국 공간정보 기술의 경쟁력
공간정보의 미래는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가진 대한민국이 만들어갑니다.
IT 인프라의 발전과 함께 3D 플랫폼, 위치기반서비스(LBS) , 증강현실 등의 기술을 활용한 첨단공간정보 시대를 이끌어 가고 있습니다.
- 세계 최초의 3D 공간정보 플랫폼 서비스 제공
-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디지털지적시스템 구축
- 토지를 기반으로 한 제도 운영의 풍부한 경험
- 자체 영상지도 제작이 가능한 위성 보유
(아리랑 1호, 아리랑 2호, 아리랑 3호)
- 세계 최고 수준의 공간정보서비스 제공
- 다양한 형태의 공간정보산업 기반 확보
- * 2010년 월드뱅크 우수상품 선정
- * 2010년, 2012년 UN 전자정부 지수(192개국)
- * The World Competitiveness Scoreboard 2011에서 22위 (59개국)
-International Institute for Management Development (IMD), 스위스
- * The Global Competitiveness Report 2010-2011에서 22위 (139개국)
-World Economic Fourm (WEF)
한국 공간정보 산업의 비전
스마트사회의 중심에는 공간정보가 있습니다. 공간정보가 세상을 더욱 편리하게 변화시킬 것입니다. 공간정보서비스는 공공분야에서부터 산업, 생활 분야까지 영역을 넓혀가고 있습니다. 국토공간과 시설물 관리, 부동산 안내 서비스 같은 생활 서비스 뿐만 아니라, GPS를 통해 서비스 된 내비게이션, 위치추적 등의 첨단기술과 융합하여 우리의 생활을 보다 편리하게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