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에 가치를 더하다 행복한 변화로 가득한 세상 공간정보로 펼쳐질 대한민국의 미래입니다
세계 최초로 공간정보산업이 통계산업분류에 등록(‘12.11월)되어 독자산업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기반이 조성됨에 따라 산업통계조사, 관련법령 정비 등을 통해 체계적인 산업육성
공간정보산업에 속하는 사업을 한국표준산업분류(KSIC, 10차)에 맞춰 제조업, 도매업, 서비스업 등 대분류 6, 중분류 16, 소분류 20개로 분류
대분류 | 정의 |
---|---|
공간정보 관련 제조업 | 공간정보 수집ㆍ획득ㆍ구축ㆍ이용을 위한 각종 장비ㆍ기기를 제조하는 산업활동 |
공간정보 관련 인쇄물 또는 기록매체를 복제하는 산업활동 | |
공간정보 관련 도매업 | 공간정보 관련 서적, 일반ㆍ전자 지도, 기록매체 복제물, 각종 소프트웨어 등을 도매하는 산업활동 |
공간정보 수집ㆍ획득ㆍ구축ㆍ이용을 위한 각종 기기를 도매하는 산업활동 | |
공간정보 관련 전산장비 및 각종 소프트웨어 등을 도매하는 산업활동 | |
공간정보 관련 출판 및 정보서비스업 | 공간정보 관련 서적 및 일반ㆍ전자 지도, 기록매체 등을 생산ㆍ출판하는 산업활동 |
공간정보 관련 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DBMS), 미들웨어, 공간정보시스템(GIS)용 엔진 등을 포함한 시스템 및 응용 소프트웨어를 개발 및 공급하는 산업활동 | |
공간정보 활용 관련 컴퓨터 프로그래밍, 컴퓨터 하드웨어ㆍ소프트웨어ㆍ통신기술 등을 통합한 각종 컴퓨터 시스템 기획, 설계, 구축, 통합, 자문 서비스 등을 수행하는 산업 활동 | |
유선 및 무선 인터넷에서 포털서비스 및 인터넷을 이용한 다양한 공간정보 관련 연계 정보를 서비스하는 산업활동 | |
공간정보 관련 자료 처리, 가공, 분석 활동 및 관련 자료를 수집, 가공, 조합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온라인 및 각종 전자매체 등을 통해 관련 정보를 서비스하는 산업활동 | |
공간정보 관련 기술 서비스업 | 공간정보 관련 기초연구, 응용연구, 실험개발 활동 등 연구개발 업무를 수행하는 산업 활동 |
지상ㆍ지하ㆍ수상ㆍ수중 등 공간상에 존재하는 자연 또는 인공적인 객체에 대한 측량 및 탐사‧조사 서비스를 제공하는 산업 활동 | |
일반지도, 전자지도 등을 제작하거나 수정하는 산업 활동(직접 지도를 제작하지 않는 출판업은 제외) | |
건물, 토목, 환경 등과 관련한 공간정보를 이용하여 엔지니어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산업활동 | |
공간정보 교육서비스업 | 중학교 과정을 수료한 사람을 대상으로 공간정보 관련 제조 공정 및 각종 기술ㆍ이론 등을 전문적으로 교육하는 기관 |
중등교육 교과과정을 수료한 사람을 대상으로 공간정보 분야 기술 및 직업적 학과내용 교육에 중점을 둔 교육기관 | |
중등교육 교과과정을 수료한 사람을 대상으로 공간정보 분야 이론적 부분에 중점을 두어 조사ㆍ연구하게 하고 자격 및 학위를 부여하는 교육기관 | |
대학 교육과정을 이수한 사람에게 대학과정에서 공간정보 전공분야에 관해 고도의 전문화된 교과과정을 교육하는 기관 | |
공간정보 분야 기술 및 직업 분야에 대하여 전문적인 훈련을 수행하는 기관 또는 산업활동 | |
공간정보 협회 및 단체 | 공간정보 관련 산업 및 직업 분야 기업과 회원 이익 증진을 위하여 조직된 단체 |
공간정보 산업구조 및 성장전망, 경제적·사회적 효과 등 기초자료 확보
1인 창업, 제2의 벤처붐 조성이 가능하여 청년일자리 창출, 경기 활성화의 기저 역할
공간정보 활성화로 미래성장동력 확보 및 경쟁력 강화